단도직입적으로 얘기해서, 알라의 이름으로 혹은 스스로 지하드(jihad)란 명분으로 자행되는 대부분의 테러들은 이슬람 과격단체들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기독교 내에서도 여러 종파로 나누어지듯이(장로교, 기독교, 감리교, 오순절 교회 등등..) 이슬람 역시 여러 학파 및 그들 종교의 개혁을 위한 운동들이 있어 왔는데요, 그 중 몇몇은 과격주의자들의 행위에 영향을 끼쳤죠. 그들이 바로 와하비즘(Wahabism)과 살라피야(Salafiyya)입니다. 실제로 알-카에다의 리더들과 그들의 지지자들은 그들 자신의 폭력적 이념이 이 두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들에 뿌리를 두고 있다 주장했습니다.
와하비즘(Wahabism)은 무함마드 이븐 압둘 와합( Muhammad ibn Abd-al-Wahhab)에 의해 주장된 18세기의 수니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입니다. 우상화 및 변질 되어가는 이슬람 사회를 개혁하기 위한 종교운동의 하나였죠. 하지만 그 당시 와하비즘(Wahabism)은 이것의 청교도적 성격과 철학으로 인해 다른 무슬림 그룹들과 충돌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와하비즘(Wahabism)은 이슬람 성자들의 무덤을 경배하는 것조차 금기 시 했고, 시아파를 비난함과 동시에 당시 대중적인 인기를 모으던 이슬람 신비주의 철학인 수피즘(Sufism)을 배격 했습니다.( 수피즘은 messianic 성격을 띈 이슬람 철학의 한 종류로써 인간과 신 사이의 중재자를 인정했고, 각종 신비주의 의식들을 실행했습니다. 현재 이집트 관광의 한 코스로 잘 알려져 있는 수피댄스는 이러한 수피즘 종교의식의 하나였습니다. 와합의 시각에서 수피즘은 순수 이슬람을 오염시키는 이단쯤으로 보였던 듯 합니다.) 이것의 비관용성은 다른 무슬림 그룹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아왔습니다.
1740년, 사우드 가의 두 형제가 와합의 제자가 되면서 와하비즘(Wahabism)을 받아들였고, 곧 와하비즘(Wahabism)은 사우디 왕국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특히 이는 사우디 왕국의 통치 및 법률, 교육정책등 사회전반의 모든 정책들에 반영되었죠. 이처럼 아라비아 반도에서 널리 적용된 와하비즘(Wahabism)은 사우디아라비아 뿐 아니라 카타르, 쿠웨이트, 아랍에미레이트 에서도 대중적입니다. 이들 대부분은 아랍 국가들 중에서도 매우 보수적 이슬람 국가들이죠. 어쨌건 이같은 와하비즘(Wahabism)을 바탕으로 세워진 사우디아라비아의 몇 몇 부호들은 서구언론 으로부터 소위 테러단체들이라 불리는 조직들을 위해 많은 양의 기부를 해오고 있습니다. 미국은 이러한 사우디아라비아의 테러단체들을 위한 재정지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방지하기 위해 여러 노력들을 해왔던 것이 사실이고요.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지하드(jihad)란 명목 혹은 알라의 이름에 의한 폭력 발생이 이슬람 원리주의와는 사실상 관련이 없다 말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용’ 되거나 ‘악용’ 된 예가 있을 뿐이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냉전시기였던 198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아프가니스탄 점령에 대항하여 살라피야(Salafiyya)에 영향을 받은 무슬림 지하드가 일어났고 미국을 비롯한 유럽은 공산권과 사회주의의 확산을 막기 위해 그들을 지원했습니다.
결론적으로, 과격단체들의 행위 배후 및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습니다만, 첫 번째,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사우디의 풍부한 재정이 테러리즘을 촉진시켰다는 주장, 두 번째, 이슬람 원리주의를 테러단체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악용한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이는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이슬람 학자들 사이에서조차도 이슬람과 꾸란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고,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 표준이 될 만한 권위 있는 해석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이러한 테러단체들의 자의적 해석과 이슬람 악용을 부추기는 원인이 되고 있다 봅니다.
이슬람 급진주의 운동에 대해서는 다른 장에서 계속하여 설명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References
- Islam and Politics: Wahabism / Jeong min Seo.
- CRS Report for Congress: The Islamic Traditions of Wahabism and Salafiyya/ Christopher M. Blanchard, Analyst in Middle Eastern Affairs, Foreign Affairs, Defence, and Trade Division.
< 저작권자: 임숙경@MBA7.kr - http://middleeast.tistory.com>